
복지재단에서 운영하는 노인복지관의 현실을 반영한 내일의 복지관을 위한 장기계획을
얘기는하고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20년전에 창설된 노인복지관이 시대의 변화에 대한 화두가 되는
“노인인구의 증가“에 대한 비전이 창원시와 복지재단의 운영방침
어디에도 찾아볼수 없습니다.
팽배하는 노인인구 증가에 대한 아무런 비전도 없이 점심식수인원이
늘어나면 흑백논리로 식수인원을 줄이고 많은 프로그램에 참여할려면 대학입시보다도 경쟁률이 높다는 현실을 정책 입안자께서는 알고나 있는지요? 근본적으로는 시설이 포화상태입니다.
새로 복지관을 만들려면 장소는 둘러보면 많습니다.
인구감소로 줄어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리모델링으로 개조를 하면 오히려 중심지에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빠른시간에 복지관을 늘릴수 있습니다. 그장소에 아파트나 지을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시고요.
그럴려면 기초적인 계획이 있어야 하는데 식수인원이 많다고 500명이라는 숫자를 상황이 다를수 있는 세개의 복지관이 동시에 식수인원을 줄여서 통제하고 힘없는 노인들만 밥먹는 고생을 짊어지게 하고 있습니다.
이건 일방적이고 일괄적으로 하급기관에 지시하는 구태적인 행정방법입니다.
더 늦기전에 중장기계획을 가지고 자세히 현장을 직접 살펴보는 체험정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복지관이 지출만 있고 수익이없는 곳이니까 복지관 자체도 점심시간 전후에 80~100명이 하는 단체수업은 중식시간과 간격을 주어서 중식혼잡을 줄이고 주방도 단체급식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도 많어니 자문을 해서 투자를 더해서 주방자동화도 더 추가하고
무료로 운영하는 시설 (바둑실, 당구장, 탁구장)등 사용하는 노인들은 시간조정으로 사용 시간을 조정하고 하루종일 복지관에 있는 분들도 많으니 관리를 하고 밥만 먹어러 오는 회원들도 상당수이니 점심시간에 수강인원 위주로 관리를 해서 식권을 발매할 때 프로그램 수강여부를 추가하든지 해서 그런다음 일괄적으로 식수인원도 통제를 해야지 군대식 흑백논리로 대처하는 것은 지양해야 합니다.
그리고 지금 20년전에 만든 규정으로 복지대상 노인연령이 60세 이상에다가 부부중 한명이 60세가 되면 부부가 다 복지관 이용가능 하도록 되어있어 더 혼잡 합니다.
법령을 바꾸어야 한다고 하는데 철도, 지하철은 65세이고 많은 시설들이 그나름 나이를 상향하는데 이 사항도 필요하다고 사료 됩니다.
모두가 다 노인이 되면 오실 곳 입니다
그리고 홈페지를 운영하시는 복지재단은 민원성 글을 포함하여 제안된 안건에 한줄이라도 답변을 해 주십시오.
추가로 해당 책임있는분들과 시의원님들이 평소에
한번씩 오셔서 실상을 현장에서 직접 체험 해 보시도록 해 주십시오.
선거때만 오시지 말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