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GNB메뉴 바로가기

창원시의회 CHANGWON CITY COUNCIL

×

창원시의회  CHANGWON CITY COUNCIL

  • 창원시의회 유튜브
  • 창원시의회 페이스북
  • 창원시의회 인스타그램
  • 전체메뉴
  • 통합검색
  • 외부링크
  • 오늘의 의사일정은 없습니다.
더보기

맨위로 이동


통합검색
>

홈 > 의회소식 > 보도자료

보도자료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카카오스토리
  • URL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시정질문] 구점득 의원 “액화수소플랜트사업 대책 마련해야” 창원시의회 2024-06-21 89

134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문...“창원시만 리스크 부담지적

 

구점득 창원시의원(팔룡, 의창동)21일 창원시 액화수소플랜트사업 추진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특히 민간기업인 두산에너빌리티와 창원산업진흥원 등이 컨소시엄을 꾸려 사업을 시작했으나 액화수소 수요에 대한 위험·불확실성(리스크)는 창원시만 떠안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구 의원은 이날 제134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에서 시정질문을 했다. 지난 3월 제132회 임시회 시정질문의 연장선이다.

 

2021년 착공해 올해 준공한 액화수소플랜트는 사업비 1050억 원이 투입된 대형사업이다. 20194월에는 사업비 350억 원 규모의 액화 및 액화저장 실증 설비를 구축하는 사업이었다는 게 구 의원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구 의원은 이 사업이 상업적으로 변질돼 규모가 커진 이유가 무엇인지, 누가 주관한 것인지 등을 물었다.

 

또한, 구 의원은 창원시가 사업 규모를 키우며 은행에서 대출을 받았는데, 대출의 전제가 창원시의 액화수소 5t 구매 확약이라는 점을 지적했다. 액화수소플랜트는 하루 5t을 생산하는데, 창원시가 매일 전량을 구매하겠다는 담보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구 의원은 이런 탓에 창원산업진흥원이 부도가 날 수 있지 않겠냐고 우려했다.

 

아울러 구 의원은 사업 추진 중 사업의 위험 관리,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등 과정에서 두산에너빌리티의 역할도 지적했다. 주관 사업자이면서도 각종 리스크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 있으며, 오히려 공사도급 운전·유지보스, 토지 임대 등으로 1970억 원 상당 수익을 가져간다는 점에 주목했다.

구 의원은 13000원이라는 구매 단가에도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SK E&C와 효성하이드로젠 등 민간기업과 가격 경쟁력에서 뒤처질 것이라는 우려다.

 

구 의원은 창원시가 2016년부터 현재까지 수소 산업에 투입한 예산만 2434억 원이다. 시민을 위해 마련한 수소정책이 오히려 막대한 부채로 시민을 고통에 빠트리는 결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신속하고 체계적인 수습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창원산업진흥원 수소산업본부장은 현재 민간기업에서 창원 내 액화수소 충전소 구축을 계획하고 있는 단계로, 계획대로 진행된다면 플랜트 기본 가동 용량은 어느 정도 충당할 것으로 예상된다또한, 액화수소 구입 문의가 있다. 계약 체결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시정질문] 구점득 의원 “액화수소플랜트사업 대책 마련해야”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