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GNB메뉴 바로가기

창원시의회 CHANGWON CITY COUNCIL

×

창원시의회  CHANGWON CITY COUNCIL

  • 창원시의회 유튜브
  • 창원시의회 페이스북
  • 창원시의회 인스타그램
  • 전체메뉴
  • 통합검색
  • 외부링크
  • 오늘의 의사일정은 없습니다.
더보기

맨위로 이동


통합검색

홈 > 의정활동 > 칼럼기고문

칼럼기고문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카카오스토리
  • URL
  • 프린터
  • 이전으로
  • 공유하기
[(2021-2-10)경남신문] 허수아비의 지혜 구점득 2021-02-10 991

[(2021-2-10)경남신문] 허수아비의 지혜1

어릴 적 벼가 누렇게 익어가는 논 한 가운데는 다양한 종류의 허수아비가 늘어서 있었다. 그리고 긴 줄에는 빈 깡통들을 매달아 논을 가로질러 연결해 두고, 이른 새벽부터 해질녘까지 수시로 줄을 당겨 요란한 소리가 나게 했다. 그럴 때마다 한 무리의 참새떼는 어김없이 하늘로 날아오르곤 했다. 참 귀찮은 존재였다. 한 톨의 곡식도 아까운 시기에 수많은 참새떼가 날아와 힘겹게 지은 곡식을 먹어 치우니 말이다. 파리 손이라도 빌려야 할 바쁜 농번기에 또 다른 일거리가 아닐 수 없었다. 힘든 일을 할 수 없는 할아버지는 이른 새벽부터 석양이 지고 어둑어둑할 때까지 훠이 훠이 고함 소리와 함께 줄을 잡아당기면서 요란한 깡통 소리로 참새떼를 쫓아 보내는 일은 결코 다른 일보다 소홀히 할 수 없는 일이었다.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 마오쩌둥은 해조박멸운동(해로운 참새 퇴치운동)을 지시했다. 그리고 4년 뒤 1958년 한 해 동안 참새 2억1000만 마리가 학살당해 거의 멸종 위기가 되었다. 참새가 잡아먹고 살았던 애벌레와 메뚜기 등 각종 해충의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중국사에 길이 남을 대 흉년을 발생시켰다. 이 일로 인해 3250만명이 사망했다고 상하이 출신 학자 차오수지가 주장하였고, 1980년 무렵 공식조사팀 일원이던 천이쯔는 4300~4600만명 사망을 주장하는가 하면, 일부 역사가는 6000만명 이상을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지도자의 아마추어리즘은 국민의 삶을 상상 이상으로 피폐하게 만들거나 죽음에 이르게까지도 한다. 이런 일을 반추해 본다면 우리 조상들의 지혜는 착함(善)에서 출발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돈 들이지 않고 생활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재료들을 재활용하면서 사람과 참새 그리고 자연이 상생하는 방법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오늘을 사는 우리는 어떠한가? 너무 세상을 이분법으로 재단하는 듯하여 슬프기도 하다. 나와 다르면 비난하고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질 않는다. 힘이 센 사람은 약자를 보호하는데 힘을 쓰기보다는 상대를 윽박지르고 누르는데 사용 하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지도자와 정치권의 책임이 제일 크다고 할 수 있다. 내가 어렵고 힘들게 공부하였기에 어려운 처지의 아이들이 편안히 공부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평생을 모은 전 재산 100억 원을 장학재단에 기부하고 “무언가를 쥐고 있으려면 어깨가 무거워지죠. 짐을 내려놓으니까 시원합니다”라고 했다는 한 독지가의 소식을 들을 때마다 우리 세상은 이러한 착한 시민들에 의해 건강하게 지탱되어간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렇기에 우리는 함께 공생하는 길을 선택해야만 한다. 허수아비는 참새에게 약간의 곡식을 내어주고 해로운 해충을 잡아먹도록 하여 결국 사람에게 이로움을 준다. 세상에는 좋은 게 하나도 없는 사람도 없고, 나쁜 게 하나도 없는 사람도 없다.

 

기사링크 : http://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344184